경북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 424-3(주차장) | |
전화 | 054-830-6574 |
교통정보
자가용 대구 (5번 국도, 중앙고속도로) → 의성 IC (봉양면, 927지방도로) → 탑리 (금성면) → 가음 방향 (소요시간 5분 정도) | |||||||||||||||||||
버 스 동대구역 → 탑리 (일 4회 운행) → 가음 방면 (차량 2회)
의성 빙계리 얼음골기본정보
경북 8승의 하나로 얼음구멍과 바람구멍이 있어 빙산이라 하며, 그 산을 감돌아 흐르는 내를 빙계라 하고, 동네를 빙계리라 부른다. 삼복 때 시원한 바람이 나오며 얼음이 얼고, 엄동 설한엔 더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나는 신비의 계곡으로 빙계(氷溪) 3리 빙계서원(氷溪書院)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용추, 물레방아, 바람구멍, 어진바위, 의각, 석탑, 얼음구멍, 부처막을 빙계팔경이라 하며, 계곡 안쪽에 자리한 보물 제327호인 빙산사지 오층석탑은 높이 8.15m의 대형탑이며, 조성시기는 통일신라 말기로 추정된다. 마을 건너편에 수십 미터 높이의 깎아지른 듯한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그 아래 맑은 시냇물 가운데 우뚝 솟은 크고 작은 무수한 바위는 1933년 10월 4일 경북도내 경북팔승의 하나로 뽑혔으며, 계곡 가운데 돋보이는 큰 바위 위에는 경북 팔승지일(八勝地一) 이라고 새긴 아담한 돌비석(石碑)가 자리잡고 있다. 경사면에 쌓인 암괴들(Talus, 애추崖錐)이 만드는 희귀한 자연현상으로 인해 2011.1.13에 빙계리 일대가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527호로 지정되었다. 제1경 빙혈(氷穴) 마을 뒷산 산기슭의 바위 아래 너덧 명이 들어 설수 있는 방 한칸 만한 넓이의 공간이다. 여기선 입춘(入春)이 되면 찬 기운이 나고 한여름엔 얼음이 얼어 있다. 입추(入秋)가 지나면 차차 녹아 동지(冬至)에는 볼 수 없고 훈훈한 바람이 나온다. 제2경 풍혈(風穴) 동구 도로 변 바위와 바위 사이에 뚫린 좁고 깊은 곳으로 여름엔 찬바람이 나오고, 겨울철은 훈훈한 더운 바람이 나오고 있다. 이 근방 크고 작은 바위 사이 곳곳엔 거의 같은 현상이 일어 나는 편이다. 제3경 인암(仁岩) 옛날 서원(氷溪書院)터 앞에 위치한 폭 1.2m, 높이 2.4m가 넘는 큰 바위다. 그 전면에는 햇빛으로 인해 정오가 되면 어질 인(仁)자 모양의 그늘이 나타나 세상 인심을 선도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는 곳이다. 제4경 의각(義閣) 임진란 때 윤은보(尹殷甫)가 모재, 회재(晦齋) 두 분의 위패를 청송 주왕산(周王山)으로 모셔 들어가 7년 동안 삭망시 향화를 이어와 잘 피난시켰다가 평란 뒤 서원에 안주케 했다. 그 공으로 의사라 일컬음을 받고 그의 갸륵한 의리를 기려 비와 이 전각을 세워 의사각(義士閣) 이라고 불린고 있다. 제5경 수대(水)(물레방아) 시냇물을 이용해 매일 많은 곡식을 찧던 규모 큰 물레방아가 있었다가 오래 전 자취를 감춰 버렸고 그 빈터 가까이 대한불교법화종 소속 빙계정사(氷溪精舍)가 세워져 신도들의 발길이 잦다. 제6경 석탑(石塔) 계곡 안쪽에 자리한 보물 제327호인 빙산사지 오층석탑은 높이 8.15m의 대형탑이며, 조성시기는 통일신라 말기로 추정된다. 의성탑리5층석탑 국보77호에 버금 가는 대형석탑이다. 제7경 불정(佛頂) 불정봉(佛頂峰) 꼭대기에 움푹 파인 데로, 그 옛날 부처가 용과 싸울 적에 찍은 쇠스랑 자국이란 전설이 전한다. 제8경 용추(龍湫)(용소) 개울의 깎아지른 듯한 절벽 밑 시냇물이 굽이치는 곳에 깊은 웅덩이가 있었다는데 현재 거의 메워졌다. 부처와 싸운 용의 머리가 부딪쳐 파인 데라 전해진다.
|
봉양면 장대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설 교육기관인 장대서원은 1610년 신지제가 낙향한 뒤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강당에서 비롯되었음. 이후 1702년 장대서원으로 승격되었음. ‘장대’란 이름은 당시 의성 현령이었던 장현광이 지은 것으로 주역 계사하전의 군자는 몸 안에 재능과 도량을 감추어 두었다가 때를 기다려 움직여야 한다는 구절에서 취한 것임.
봉양면 구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설 교육기관인 금산서원은 신체인이 1776년 자제와 문생을 가르치기 위해 세운 금연정사의 후신으로 1981년에 서원으로 승격되었음.
청동기 시대의 돌무덤인 장대리 고인돌 떼는 20기가 확인되는데, 모두 지석이 없는 개석식임. 상석의 형태는 타원형, 말각장방형, 장방형, 부정형 방형 등 다양함. 규모가 가장 큰 것은 장축 350cm, 단축 275cm, 두께 98cm이고, 가장 작은 것은 장축 104cm, 단축 70cm, 두께 23cm로 다양함.